1203_Report(한국어번역).hwp1.1M뽀이뻿에서 3월, 중간 보고서가 왔습니다.
보고서는 번역해서 파일로 첨부합니다.
아래는 부분을 발췌했습니다~
—————————
< 뽀이뻿, 캄보디아 장학사업 보고서 (2011년 9월~ 2012년 2월) >
▣ 목표
모든 아이들이 학교에 갈 수 있어야 하고, 앞으로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
▣ 배경
이번 새 학기에는 기존의 40명에서 늘어나 80명의 학생으로 출발하였고, 이 가운데 40명은 신입생이고, 33명은 기존 학생이며 7명은 바뀐 학생이다. 돈보스코 학교에서 지원을 받았던 학생들은 제외했다. 왜냐하면 그 학생들은 학용품을 비롯하여 학교에 다니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것들을 충분히 지원받았기 때문에 도움의 기회를 다른 학생들에게 주었다. 학생들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올해 비가 너무 많이 와서 몇몇 마을에는 들어가는 것이 쉽지 않아 새로운 학생들을 선정하기 힘들었다. 하수 수녀님과 함께 장학사업을 담당할 새로운 스탭을 한 분을 모셨기 때문에 앞으로는 활동이 더욱 원활해지리라 기대한다.
▣ 활동 사항
1.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수 수녀님과 활동가가 함께 학교와 가정을 방문해 아이들을 만납니다. 오전과 저녁 시간 세 번 진행하고, 나머지 저녁 시간은 방문에 필요한 자료 준비합니다.
2. 지난 10월에는 모든 학생들이 필요한 학교물품을 지급 받았고, 1월에 두 번째 교복과 공책을 지급 받았습니다.
3. 방과 후 수업은 마을 별로 혹은 교사 별로 수업을 진행합니다.
4. 새로운 그룹 중 22명은 이전에 다니던 사립학교에 다니는데(공립학교가 너무 먼 아이들), 사립학교는 수업료를 내야 하기 때문에 방과 후 수업을 받지 않습니다. 수업료와 방과 후 수업료가 동일하고, 사립학교는 학생들을 잘 가르치고 학생들에게 관심도 가지고 있습니다.
5. 가정 방문 시에 아이들의 학습에 진전이 있는지 작은 테스트를 합니다. 때로 아이들이 공부 지도와 동기 부여를 필요로 할 때가 있고, 아이들이 허약해 보이면 도움을 줍니다.
6. 가정 방문 시 아이들이 아플 때는 진료 지원을 받습니다. 3개월마다 구충제와 비타민제를 복용하도록 합니다.
7. 3개월 마다 아이들은 작은 시험을 보고. 교과목 체계에 따라 시험을 출제하는데, 많은 아이들은 잘 하지만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이들의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8. 매월 마지막 주에 월례회의를 합니다. 목요일에 TKN 5 마을과 유치원 두 곳에서 엽니다. 아이들과 부모가 모두 참가하여 가치에 관한 여러 주제를 가지고 강의를 듣습니다.
▸주제 : 교육의 가치. 사회생활을 어떻게 할 것인가? 상대방의 존중, 가족, 흡연과 마약, 조화, 협동, 환경, 아이들의 권리와 정직.
▸활동 : 놀이, 그리기, 노래 배우기, 색칠하기, 노래와 글, 그리고 테스트
▣ 결과
많은 아이들은 공부가 향상하고 있습니다. 반에서 1등을 하는 아이도 있고, 2등에서 5등 사이에 든 아이들도 있습니다. 지난 몇 년을 돌이켜 보면, 우리와 만났던 많은 가족들이 신뢰와 믿음을 갖고 서로 가깝게 지내게 되었습니다. 가족들 사이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 졌습니다. 부모들은 교육에 점점 더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자녀들을 위해 희생하고자 하는 자세를 갖게 되었고, 자녀들을 적극적으로 격려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이들이 성장하고 공부하려는 모습을 보는 것은 참으로 기쁜 일입니다. 월례회의가 열릴 때마다 부모들이 찾아와 자신의 아이들을 받아 줄 수 있는지 물어 봅니다. 비록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 우리에게 보내지만, 사람들은 우리와 더불어 행복해 하고, 신뢰를 가지고 자신들의 어려움을 우리와 나눕니다. 도움을 줄 수 있고, 삶을 나눌 수 있어서 우리 역시 기쁘고, 그분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웁니다.
▣ 어려움
▸ 몇몇 아이들은 학교를 다니기는 하지만 학교에서 공부를 많이 배우지 못합니다. 실제 교사들이 학교서 공부를 가르치는 시간은 두 시간 반에서 세 시간 정도이거, 교사가 학생을 돌볼 수가 없습니다.
▸ 교사들과 함께 우리가 마련한 방과 후 수업은 의무가 아니어서 정규수업이 되지 못합니다. 때때로 교사가 시간이 있어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도 감독 하지 못합니다.
▸ 아이들은 자라고 있고, 상대적으로 큰 아이들은 작은 아이들과 함께 공부하는 것을 창피해 합니다.
▸ 아이들은 부모 뿐 아니라 친척, 할아버지 할머니, 형, 누나 등과 함께 살기 때문에 가끔 학교에 가기 싫어할 때가 있습니다. 더 많은 돌봄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