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권사각지대를 찾아서>
중국 정부의 무슬림 탄압, 동투르키스탄
우리에게 실크로드로 알려져 있는 중국 가장 서북부의 위치하고 있는 신강위구르자치구는 동투르키스탄이슬람운동(ETIM)이 일어나고 있다.
신장위구르자치구는 중국 전체면적의 17%를 차지하고 석유를 비롯한 광물자원이 풍부하며 몽골,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등 8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요충지이다.
분리 운동이 일어나는 배경은 크게 빈곤과 민족차별로 볼 수 있다. 위구르지역은 사막지대로 농업, 공업이 발달이 어려워 빈곤이 아주 심각하고 중국 정부가 산업개발을 위해 이주한 한족들에게 독자적인 행정, 경제, 문화교육, 사회복지의 체계를 제공하며 민족 집단인 위구르인과 차별 정책을 펴왔다.
신강위구르자치구에서 민족운동은 일반적으로 ‘동투르키스탄이슬람운동’으로 불리고 1990 년대에 들어와 본격화 되었지만, 독립의 역사는 청조가 터키계 무슬림의 거주지였던 이 지역을 강제적으로 편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중국 소수민족 중에서 가장 큰 무슬림공동체인 위구르인들은 중국 정부에 의해 대대적인 탄압을 받고 있다. 중국 정부는 분리주의 운동과 관련된 평화주의 종교 활동가들까지도 체포, 고문, 사형 등의 형벌을 집행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모스크의 감시와 통제, 특히 아동과 청소년들을 종교 행사에 참석하지 못하게 하고 심지어는 이슬람교 신자들을 해고 하거나 체포하는 등의 종교적 탄압을 행하고 있다.
9·11 테러 이후 중국은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이름으로 동투르키스탄이슬람운동이 오사마 빈 라덴, 아프가니스탄 탈레반과 연루 되었다는 주장을 펴며 탄압을 정당화하고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미국과 유엔에서도 동투르키스탄이슬람운동을 중국의 위루르인 독립운동 탄압이 아닌 이슬람테러조직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신장위구르 지역에서 종교적, 정치적 탄압을 중단하여 동투르키스탄의 평화가 오기를 희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