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루치스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발루치스탄(발표).hwp314.0K파키스탄 국가 위기의 진앙으로서 발루치스탄

이광수(아시아평화인권연대 공동대표)

위치
1. 파키스탄은 영국으로부터 인도와 함께 분리 독립함. 이슬람을 중심으로 단일 국가를 형성하였으나 국가 정체성이 낮음. FATA(부족자치구역)-서북변경주와 함께 국가 정체성이 낮고, 종족 정체성이 가장 높은 곳.

2. 파키스탄은 국민국가 정체성이 현저하게 낮은 곳. 뻔자비, 파슈툰, 발루치, 신드의 네 종족성이 우선적으로 강함.

[지도]

3. 지정학적으로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국, 인도에 둘러싸여 있으면서 미국과 러시아의 직접적 이익이 충돌하는 곳. 역사적으로는 영국의 식민 지배 후유증이 크고, 중동의 이슬람 근본주의와 미국 중심의 동아시아-동남아시아-인도의 자본주의가 충돌하는 21세기 국제정치 제1의 각축장. 핵무장 지역임에 특히 주목.

원인
1. 가장 중요한 것은 예의 에너지 문제. 이 지역은 파키스탄내에서도 자원 (특히 천연가스)이 가장 풍부하게 매장된 곳이면서 동시에 중앙아시아 및 이란에서 인도까지 연결되는 천연가스 수송로의 길목 (IPI line, TAPI line)에 있다는 사실. 각 나라 간의 경제적 이익을 둘러싼 충돌 그리고 IPI는 미국이 반대, TAPI는 미국 지지, 아프가니스탄 정정 불안. 두 경우 모두 발루치스탄 지역이 핵심.

[지도]

2. 해안 지역이 갖는 지정학적 위치 매우 중요. 에너지원 적재, 운송 및 수출의 허브 잠재력 소유. 특히 중앙아시아의 에너지원을 해양으로 빼올 수 있는 전략적 위치. 카다르 항 개발에 중국의 입김이 커지면서 인도의 위기의식 발로.
3. 종족 중심적 사회. 건국 후 파키스탄 중앙정부가 이 지역 홀대해옴. 정치, 경제, 교육, 문화 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짐.

현황
1. 발루치스탄 민족주의 발흥, 자치에서 출발 현재는 분리 독립 주장. 정부군의 가혹한 탄압. 분리 독립주의자들의 저항 빈발. 특히 친정부 입장인 중국인에 대한 테러. 대표적인 단체로 발루치스탄 해방군(Balochistan Liberation Army:BLA – 무장 저항, 분리 독립 및 이란의 발루치족과 단일 국가 건설 주장), 이라크의 지원을 받는 발루치스탄해방전선(BLF), 발루치스탄자치운동(BAM)

2. 최근 2005년과 2006년에 큰 분규 발생, 지도자 학살, 체포 및 구금, 실종 등의 사태 발생. 테러 보복 시작. 2006년에는 79살의 지도자 피살. 파키스탄 군대도 60여명의 군인 피해자 발생, 양자 큰 타격. 2009년 민족 지도자 체포 및 구금.

전망
1. 미국 CIA의 발루치스탄 주 정치에 개입한 직간접적 근거가 계속되고 있음. 주 내부에서는 물론이고 외부 (외국 포함)에서도 거대한 구조 속에서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

2. 특히 미국의 본격적 군사 개입 가능성 고조. 해안 지역의 가다르 항을 미국측이 접수. 탈레반 소탕과 연계 지을 가능성 혹은 나아가 분리주의 고취, 독립국 건설 지원. 파키스탄의 불안을 원하는 인도 (보수 정부) 역시 미국 정책지지.

3. 1990년대 이래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 과정에서 나타난 결국 ‘만들어진 공동체’(imagined community)인 종족을 중심으로 인종/ 민족 분리선 규정 후 분규 가능.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국가 건설, 유혈 내전과 인종 청소의 과정 답습 가능성 고조.

우리의 과제
1. 국제정치에 정의는 존재하는가?
2. 파키스탄 공동체인가 발루치스탄 공동체인가?

자료실

댓글

*